저는 발음이 오렌지인지 어린쥐인지 따지는게 싫어서 영문으로 그냥 표기하는 걸 선호하는 편입니다만, 의외로 사람들이 이 영화 제목을 보고 무슨 뜻인지 잘 짐작을 못하는 것 같더군요. 유마가 지명인지 몰라서 그럴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이 글 제목은 다른 영화 감상문과는 달리 한글로 적어보았습니다. 아예 한국어로 번역하면 발음 따질 필요 없다는. :)
간만의 서부극인데다가, 미국에서의 흥행이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어서, 한국에서의 썰렁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보러갔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반응이 썰렁한 것은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보러갈 때는 반응이 썰렁한 것은 단지 서부극이라는게 한물 간 장르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그런 문제가 아니고 진짜로 영화가 느슨해서 재미없었습니다.
그나마 클라이막스에서 '그래 이거라면 모든 걸 용서해줄 수 있어'라는 생각이 잠시 드는 대목이 있었는데, 거기서 그대로 끝내버리지를 못하고 주르륵 미끄러져버려서 실망시켜 버리더군요.
보면서 뭔가 흔한 소재의 배합이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결국 비벼서 나온 것은 맛 없는 식사였습니다. 비빔밥은 재료가 좀 구려도 고추장이 맛있으면 먹을 만 한데, 이 영화는 그렇게 나쁜 재료들은 아니었는데, 고추장이 빠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재료들이 서로 자기 주장을 하다가 상대의 맛을 죽여버렸다는. 이 소재 하나하나를 보면 미국에서 그럭저럭 흥행할만하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한국에서는 아닌 것 같습니다.
다보고 나서의 느낌은 홍콩 느와르에 서부극 스킨을 씌웠다는 것이었는데, 뉴 멕시코의 눈부신 태양은 느와르를 일사병에 걸려 죽게 한 모양입니다. 그런데 놀란 것은 이 글 쓰려고 찾아보다가 알았는데, 이게 1957년도 영화의 리메이크군요. '남자의 로망'이라는 점에서 서부극과 홍콩 느와르는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지만, 그래도 이 둘이 같은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은 없는데, 그게 그렇지가 않았나 봅니다. 기회가 닿으면 1957년판을 한번 보고 싶다는 생각은 듭니다. 1957년판이라고 해서 재미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지는 않지만, 과연 어떻게 바뀌었는지가 궁금하기는 합니다.
간만의 서부극인데다가, 미국에서의 흥행이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어서, 한국에서의 썰렁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보러갔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반응이 썰렁한 것은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보러갈 때는 반응이 썰렁한 것은 단지 서부극이라는게 한물 간 장르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그런 문제가 아니고 진짜로 영화가 느슨해서 재미없었습니다.
그나마 클라이막스에서 '그래 이거라면 모든 걸 용서해줄 수 있어'라는 생각이 잠시 드는 대목이 있었는데, 거기서 그대로 끝내버리지를 못하고 주르륵 미끄러져버려서 실망시켜 버리더군요.
보면서 뭔가 흔한 소재의 배합이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결국 비벼서 나온 것은 맛 없는 식사였습니다. 비빔밥은 재료가 좀 구려도 고추장이 맛있으면 먹을 만 한데, 이 영화는 그렇게 나쁜 재료들은 아니었는데, 고추장이 빠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재료들이 서로 자기 주장을 하다가 상대의 맛을 죽여버렸다는. 이 소재 하나하나를 보면 미국에서 그럭저럭 흥행할만하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한국에서는 아닌 것 같습니다.
다보고 나서의 느낌은 홍콩 느와르에 서부극 스킨을 씌웠다는 것이었는데, 뉴 멕시코의 눈부신 태양은 느와르를 일사병에 걸려 죽게 한 모양입니다. 그런데 놀란 것은 이 글 쓰려고 찾아보다가 알았는데, 이게 1957년도 영화의 리메이크군요. '남자의 로망'이라는 점에서 서부극과 홍콩 느와르는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지만, 그래도 이 둘이 같은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은 없는데, 그게 그렇지가 않았나 봅니다. 기회가 닿으면 1957년판을 한번 보고 싶다는 생각은 듭니다. 1957년판이라고 해서 재미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지는 않지만, 과연 어떻게 바뀌었는지가 궁금하기는 합니다.
'영상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ntage Point (0) | 2008.03.02 |
---|---|
No Country for Old Men (0) | 2008.02.26 |
Cloverfield (0) | 200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