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 PunkBuster
갑자기 궁금한게 있어서(노파심에서 말해두자면 업무와는 관계없이) PunkBuster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만.
좀 놀랐던게, 이게 하드웨어 GUID를 기반으로 밴을 하더군요. 근래에 DC에서 Mac Address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구별한 예도 있지만, 이쪽은 여러 부품을 체크하는 듯 합니다.. 하드웨어 GUID를 기반으로 밴을 한다는 것은 PunkBuster쪽에서도 이야기하듯이, 치트를 시도하다가 걸리면 다시 시도하려면 새 PC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인지라 치트의 난이도를 상당히 높이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게다가 PunkBuster의 경우 특정 서버에서의 밴 뿐만 아니라, 펑크버스터를 사용하는 모든 게임에서의 밴까지 지원하는지라 상당히 엄한 처벌이 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정직한 유저들은 핵을 테스트하지 않는다."는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꽤 강경한 정책을 쓰고 있는 듯 합니다. 한번 걸리면 사용자들이 뭐라고 해도 안 풀어줄 듯 하군요.
대개의 회사들은 치트에 대해서 계정 블럭을 하고 있는데, 자사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게임에 대한 블럭을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좀 더 나아가서 회사 간에 이런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 개인정보 보호에 관련해서 법적으로 클리어할 문제는 있겠지만 - 강력한 제제를 가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개발자 생각에는요. ^^;
기본적으로 기술적인 호기심은 이해하는 바이지만, 사용자가 치트를 시도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다면 치트를 막기 위한 여러가지 제약들이 사라지고, 그만큼 게임에서 많은 것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라, 정말 게임을 즐긴다면 개발자들이 치트 방지보다 게임 자체에 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그런 장난은 피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갑자기 궁금한게 있어서(노파심에서 말해두자면 업무와는 관계없이) PunkBuster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만.
좀 놀랐던게, 이게 하드웨어 GUID를 기반으로 밴을 하더군요. 근래에 DC에서 Mac Address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구별한 예도 있지만, 이쪽은 여러 부품을 체크하는 듯 합니다.. 하드웨어 GUID를 기반으로 밴을 한다는 것은 PunkBuster쪽에서도 이야기하듯이, 치트를 시도하다가 걸리면 다시 시도하려면 새 PC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인지라 치트의 난이도를 상당히 높이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게다가 PunkBuster의 경우 특정 서버에서의 밴 뿐만 아니라, 펑크버스터를 사용하는 모든 게임에서의 밴까지 지원하는지라 상당히 엄한 처벌이 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정직한 유저들은 핵을 테스트하지 않는다."는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꽤 강경한 정책을 쓰고 있는 듯 합니다. 한번 걸리면 사용자들이 뭐라고 해도 안 풀어줄 듯 하군요.
대개의 회사들은 치트에 대해서 계정 블럭을 하고 있는데, 자사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게임에 대한 블럭을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좀 더 나아가서 회사 간에 이런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 개인정보 보호에 관련해서 법적으로 클리어할 문제는 있겠지만 - 강력한 제제를 가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개발자 생각에는요. ^^;
기본적으로 기술적인 호기심은 이해하는 바이지만, 사용자가 치트를 시도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다면 치트를 막기 위한 여러가지 제약들이 사라지고, 그만큼 게임에서 많은 것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라, 정말 게임을 즐긴다면 개발자들이 치트 방지보다 게임 자체에 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그런 장난은 피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게임 만들기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코가 말하는. (2) | 2005.08.05 |
---|---|
어디로 갔을까, 나의 한쪽은 (0) | 2005.06.01 |
_MSC_VER (0) | 2004.11.04 |